국내차량이나 외제차량은 차종에 따라서 자동차보험 등급이 나뉘어 지는데요, 이는 차량에 저속충돌 시 손상성과 수리성이 다르기 때문에 보험에서 자기차량손해담보같은 자동차보험료가 등급으로 인하여 결정됩니다.
해당 등급의 결정을 보험개발원에서 실시를 하고 있는데요. 차량모델별 등급조정은 분기별로 손해율과 부품가격 변동에 따라서 조정하고 있습니다. 작년보다 내 차의 등급이 떨어졌다는 것은 사고, 수리등이 많아 자기차량손해보험의 금액이 오를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차량 등급을 확인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기도 합니다.
확인하시는 방법은 보험개발원에 접속하시면 되는데요,
포털사이트를 이용해서 접속해볼께요.
그럼 좌측에 보험인 메뉴에 보시면 차량모델등급 조회가 있습니다. 이곳을 선택해보겟습니다.
그럼 우측에 모델별 등급 메뉴를 볼 수 있는데요. 국산과 외산, 제작사, 차종, 차량명을 확인하여 검색할 수 있는데요.
차량명을 직접 입력해서 검색을 하시면 바로 알아보실 수 있네요. 그 외에도 여러가지 항목들을 알아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저는 현대자동차의 대형차량을 검색해보았습니다. 그럼 차명과 차종, 등급을 바로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이 등급은 1~26등급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1등급에 해당하는 차량은 가장 높은 보험료를 납부하게 됩니다. 반대로 26등급은 가장 낮은 자차보험료를 납부하시게 되겠지요.
앞써 말씀드린 것과 같이 등급조정은 분기별로 플러스, 마이너스 2등급까지 조정이 되며 보험사마다 등급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면 될 것 같네요.